-
가구 ‘친환경’이 아니라 ‘등급...
편백홈 │ 2016/09/22 14:06 │ 조회 : 7506가구 ‘친환경’이 아니라 ‘등급’을 따지자.누구나 순수한 원목가구가 좋다는 사실은 알고 있겠지요.하지만 원목가구는 그만큼 비싸기 때문에 가격이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그래서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가구들은 PB, MDF 입니다. 거기에 시트지와 필름 마감재를 칠하거나 붙여서 나무처럼 느낌을 냅니다.이렇다 보니 가구로 제작하면 포름알데히드가 많이 방출될 수 있습니다.최근에는 이런 제품들을 판매하기 위해서 친환경 도료, 친환경 가구자재 등으로 홍보하여 많이 판매하고 가구제작 시 재료로 사용됩니다.친환경 정말 좋은 말입니다.보통 친환경이라고 홍보하는 제품들은 기준치만 맞게 되면 그렇게 홍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 -
가구는 도장 없는 것으로
편백홈 │ 2016/09/08 15:46 │ 조회 : 5433가구를 구입하려고 살펴보면 같은 나무여도 색이 차이나고 광택에 차이가 나는 것을 보신적이 있을겁니다.가구에 도장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될 수 있습니다.이렇다 보니 좋은 가구를 사기 위해서는 도장을 해야 좋은 것인지 원목 그대로가 좋은 것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일반 가구업체들이 도장을 하는 이유 나무 위에 도장을 하는 이유는 내구성과 색상, 광택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이런 목적들은 나무가 관리가 어렵거나 자재의 등급이 낮을 때 사용하게 됩니다.그렇게 되면 흠집이나 갈라지게 된 부분이 채워지고 색이 변하게 됩니다.이런 경우는 당연히 나무에서 나오는 피톤치드와 습도 조절 기능 등은 제거가 될 수 -
새가구증후군?
편백홈 │ 2016/09/01 11:06 │ 조회 : 3493새가구증후군, 대기업 가구가 좋다?최근 해외 가구업체가 한국 시장에 진출을 하고 있지요.그에 따라서 조금 더 저렴한 가격을 경쟁력으로 내세우는 업체들이 많아 졌지요.싼 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있지만 가격만 보고 구매를 한다면 오히려 화를 당할 수 있습니다.예전에 싼 것만 보고 질 낮은 나무를 사용한 가구를 구매한 사람들이 후회하고 고통을 받으며 생겼던 신조어 “새가구증후군”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대기업 브랜드 싸고 좋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신중하게 생각해 봐야 합니다.웰빙시대인 지금 친환경 가구 문제는 다시 확인을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일부 소비자들은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국내, 해외, 대기업,
-
편백나무가구 관리법
편백홈 │ 2016/08/24 15:10 │ 조회 : 9347편백나무는 피톤치드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그 고유의 성질을 유지해 주기 위해서 친환경적으로 피톤치드의 향이 방출되기 쉽도록 원목을 부드럽게 하여 제작합니다.온도와 습도에 적응하기 위해 여름과 겨울을 거치면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미세한 갈라짐이 생길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그 현상으로 인하여 가구의 내구성이나 튼튼함에 영향은 거의 주지 않아서 불안해 하지 않아도 됩니다. 1. 깨끗하게 관리하기 청소를 하실 때 편백나무 가구도 먼지가 쌓일 수 있기 때문에 털어주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물이 닿게 되면 피톤치드 향이 진해지기 때 -
편백홈이 편백나무를 쓰는 이유?
편백홈 │ 2016/08/19 19:28 │ 조회 : 8115편백홈이 편백나무를 쓰는 이유? 일본이 원산지인 편백나무는 “히노끼” 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또는 “노송나무” 라고도 불립니다.일본에서는 최고급 내장제로 황실에서 쓰는 최고의 목재로 대접받은 나무 이며 최근에는 웰빙용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지요.편백나무의 피톤치드일단 피톤치드의 효능은 편백홈 사이트의 과거 글을 참조해 보셔도 되지만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피톤치드는 숲 속에서 나는 좋은 냄새 나무 자체의 면역력을 위해서 공기 중에 방출하는 성분입니다. ▲피톤치드의 효능이렇게 좋은 피톤치드는 여러나무 중 침엽수에 가장 많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그 중 편백나무는 피톤치드 함량이 으뜸이라 -
나무의 수축과 팽창에 대하여
편백홈 │ 2016/08/12 12:14 │ 조회 : 6945나무의 수축과 팽창에 대하여나무는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가구가 되어서도 나무는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되어 생긴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소비자분들은 항상 튼튼하고 갈라짐이 없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가구를 원하십니다.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입니다. 가구가 된 나무는 습도가 높은 여름에는 팽창 습도가 낮은 겨울에는 수축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나무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물이 중요하기 때문에 나무는 자체적으로 항상 수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습도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원목을 사용 할 때 건조를 해야 됩니다. 이 과정에서 나무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던 나무